심리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대사회에서 가장 유명한 의사결정이론 : 허버트 사이먼과 다니엘 카너만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인간은 합리적일까 합리적이지 않을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용어가 있다. "이 결정은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제 말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요?" 특히 의사결정에 있어서 '합리성'은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주류 경제학의 기본 전제는 "인간은 합리적이다."라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합리적인가? 인간은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존재인가? 사고 싶은 물건이 있을 때 꼼꼼하게 가격, 품질, 디자인을 비교하고 매 순간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과거의 사람들은 인간이 합리적으로 행동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고전적 경영이론에서는 효율과 합리성에 집중했.. 더보기 세상을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인간과 동물의 차이, 오감을 통한 인식 오늘 심리학과 정상철 교수님의 "연구하는 즐거움과 도구 앙상블"이라는 주제의 특강을 듣고 왔다. 강의에 대한 상세 소개가 없어서 무슨 내용인지 감도 잡지 못한 채로 일단 학교에 갔다 오기로 마음먹었다. 왜냐하면 학기 중에 빌렸으나 아직 다 읽지 못해 반납하지 못하여 연체가 된 책이 무려 5권이나 있었기 때문이다. 연체료도 처리를 해야 했고, 연체가 된 상태에서는 새 도서를 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에 가긴 가야 했다. 요즘 갓생 살기에 맛이 들려서 졸린 눈을 비비면서 5시간 밖에 자지 못했지만 학교로 출발했다. 특강을 듣게 된 이유가 오로지 '연체료를 내러 학교 도서관에 간 김에'는 아니었다. 정상철 교수님이 지각심리학, 인지과학 분야를 전공하셨기 때문에 내가 공부하고 있는 HCI, UX 분야와 접점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