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전공생이 말하는 IT | 디자인 이야기

인간관계에서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에 대해, 에드워드 홀 <숨겨진 차원>을 통해 공간디자인에서 거리 설계에 참고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인간관계에서의 물리적 거리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원하든 원치 않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간다. 인간관계에서 물리적 거리가 너무 가깝거나 너무 멀면, 그 관계는 오해받을 수 있다. 방금 전에 처음 만난 사람이 내 옆에 밀착해서 대화를 나눈다거나, 꽤 친하다고 생각했던 동료가 갑자기 나와 대화 중에 슬금슬금 뒤로 멀어진다면, 당사자는 당황스러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문화인류학자인 에드워드 홀은 사람 간의 물리적 거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에드워드 홀의 저서 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에 따른 적정한 거리가 분류되어 있다. 공공적 거리 (pub.. 더보기
UXUI 디자인에 적용되는 심리학 법칙, 밀러의 법칙, Magical Number 7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조지 A. 밀러라는 미국의 인지심리학자가 주창한 7±2에 대해 아시나요? 그는 'magical number 7±2'를 주제로 논문을 쓰면서 인간의 단기 기억 용량에 밝혀내며 인지심리학계의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인간의 단기 기억 용량은 7±2 이다. 조지 밀러는 여러 가지 실험을 기반으로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단기 기억 용량이 7±2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시각 자극뿐만 아니라, 청각 자극, 후각 자극 등을 매개로 한 실험을 소개하고 일차원적 판단의 범위가 7 근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근거로 'magical number 7'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것입니다. 그와 함께 그는 단기 기억 용량이 7에 불과하지만 학습과.. 더보기
HCI란 무엇인가? HCI 역사, 정의, 목표, 구성요소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HCI의 시작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HCI라는 학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HCI는 Human-Computer Interaction의 줄임말입니다. 1960년대부터 마우스, 하이퍼텍스트, GUI 등에 대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이었던 것입니다. 연구소, 기업 등 일부 특수한 공간에서만 사용되면 컴퓨터 환경이 개인용 컴퓨터인 PC(Personal Computer)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1982년 경에 HCI는 HCI 학회의 탄생과 함께 본격적으로 학문.. 더보기
컴퓨터 과학과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AI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오늘도 특강을 듣기 위해 무더위를 뚫고 학교에 다녀왔다. 오늘 강의자는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소속 김선주 교수님이셨다. 특강 제목은 무려 "AI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였다. 요즘 가장 핫한 키워드 중 하나인 AI에 대한 강의, 그것도 연세대학교 우수연구자인 교수님이 진행하시는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은 좋은 기회임이 분명했다. AI의 과거 : AI 유행은 이번이 3번째이다. 개인적으로 오늘 들은 이야기 중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AI의 과거' 파트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거' 혹은 '미래'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낄지 모르겠으나.. 나는 철학과 베이스라서 그런지 다른 사람과 관점이 다른 듯하다. AI의.. 더보기
AI의 발전과 대화 디자인(Conversational Design)의 필요성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AI의 발전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 분야 :: 대화 디자인(Conversational Design AI가 발전하게 되면서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대화 디자인(Conversational Design)이다. 대화 디자인이 대체 무엇일까? 쉽게 챗봇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요즘은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챗봇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챗봇과 대화를 나누면서 간단한 CS 문의에 대한 답변을 받는다. 이때 챗봇과 사용자 간의 텍스트를 통한 대화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이 바로 대화 디자인 분야이다. 대화 디자인(Conversational Design, Conversational UX)은 챗봇과 같은 음성.. 더보기
구글 UX 라이터 토레이가 설명하는 UX 라이팅 프레임워크 ※ 본 글은 제가 2023 한국 HCI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의 내용을 각색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전략적 UX 라이팅 (사용자 경험을 위한 마이크로카피 작성법) 이 책은 구글 UX 라이터인 토레이 파드마저스키가 2019년 발간한 책이다. 영문명으로는 인데, 2022년 한국어로 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확실히 해외에서는 한국보다 빨리 UX 라이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구글 UX 라이터 토레이는 이 책을 통해 UX 라이팅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서 제안하는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은 책에서 발췌한 '보이.. 더보기
철학이 담긴 UX디자인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에서 UX 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는 석사 연구원입니다. 저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그래서 철학적 관점에서 디자인, HCI, UX, 인터랙션 디자인, 감성디자인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이론가로서 기존에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에 대한 오해를 풀고 싶습니다. 또한 디자인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철학적 의미를 끊임없이 탐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철학이 담긴 UX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써보겠습니다. 더보기
네리 옥스먼(Neri Oxman)의 KCC(Krebs Cycle of Creativity) 네리 옥스먼(Neri Oxman)은 누구일까요? 네리 옥스먼(Neri Oxman)은 건축가이자 디자이너로 유명한 MIT 미디어 랩의 교수입니다. Mediated Matter research group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컴퓨터 공학, 재료공학, 예술, 디자인 등을 융합하여 새로운 구조물 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고 합니다.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주의적이면서도 이를 인간의 삶에 적용하여 인간 친화적인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상당히 독창적인 실험을 많이 하고 있으며 생물학, 컴퓨터 공학, 디자인, 건축학을 자유자재로 넘나들고 있습니다. 과학계와 예술계를 융합하는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015년 TED 강연에서의 발언을 들어보면 네리 옥스먼이 추구하는 철학이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