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공생이 말하는 IT | 디자인 이야기

구글 UX 라이터 토레이가 설명하는 UX 라이팅 프레임워크

반응형

 

※ 본 글은 제가 2023 한국 HCI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의 내용을 각색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포스팅 내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 상업적 이용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전략적 UX 라이팅 (사용자 경험을 위한 마이크로카피 작성법)

 

 

이 책은 구글 UX 라이터인 토레이 파드마저스키가 2019년 발간한 책이다. 

영문명으로는 <<Strategic Writing for UX>>인데, 2022년 한국어로 <<전략적 UX 리아팅>>이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확실히 해외에서는 한국보다 빨리 UX 라이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구글 UX 라이터 토레이는 이 책을 통해 UX 라이팅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략적 UX 라이팅>>에서 제안하는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은 <<전략적 UX 라이팅>> 책에서 발췌한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이다.

 

가로축에는 제품 원칙을 적는다. 각 원칙은 다른 원칙과 달라야 하며 '보이스'와 '어조'에 있어서 차이를 담고 있어야 한다. 

토레이에 따르면 '보이스'는 경험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일관되고 인지할 수 있는 선택된 표현이다. '어조'는 한 경험에서 다른 경험으로 이동할 때 보이스에 생기는 가변성이다. 예를 들어 엄마의 전화 음성을 들을 때, 상대방이 낯선 사람인지 친밀한 사람인지를 어조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엄마의 보이스(목소리) 자체를 혼동하지는 않는다. 이 처럼 우리는 조직이나 경험을 보이스를 통해 인지할 수 있고, 어조는 에러 메시지, 공지, 축하 등 상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토레이가 제안하는 보이스차트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대안을 요약함으로써 UX 라이터는 UX 콘텐츠를 아우르는 보이스에 맞도록 의도적으로 어조를 포함시키거나 조정할 수 있다.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 세부 예시

 

사실 제품이나 조직의 원칙을 정의하는 업무는 일반적으로 UX 라이터의 업무가 아니다. UX 라이터 뿐만 아니라 UX에서 단독으로 이 원칙을 정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제품 원칙은 보통 회사에서 이미 정의해 둔 원칙을 따르게 된다. 

 

토레이는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3가지 제품을 사례로 든다.

  • 더 스터전 클럽 : 멤버십 회원들이 친목을 다지고 즐길 수 있도록 사적이고 품격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
  • 애피 : 사용자가 플랫폼을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상품을 구매하는 동안 즐거움과 소속감을 얻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
  • TAPP : 지역 환승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본 포스팅에서는 이 중 '더 스터전 클럽' 한 가지의 예시를 소개해 보겠다. 

 


토레이는 더 스터전 클럽의 제품 원칙을 '품격', '유대감', '전통' 이라고 적용했다. 

그리하면 일단 보이스차트의 행과 열의 타이틀이 완성된다. 

  품격 유대감 전통
Concepts (콘셉트)       
Vocabulary (용어)      
Verbosity (장황함)      
Grammar (문법)      
Punctuation (구두법)       
Capitalization (대문자)       

 

 

이제 실무자들이 할 일은 빈칸을 채워넣는 일이다. 

토레이는 더 스터전 클럽의 보이스차트를 다음과 같이 완성한다. 

  품격 유대감 전통
Concepts (콘셉트)  완성미와 화려함에 관련된 세부 사항, 기능적이며 장식적 화합, 소속감, 세심함 클럽 회원과 역사, 명성, 영향력에 대한 구체적 유대
Vocabulary (용어) 일반성을 가진 용어 (매우, 아주 등)을 피한다 신뢰, 회원 간의 모임, 직원과 회원 간의 약속 회원
명예 회원
고인이 된 회원
전 회원이라고 칭하지 않음
Verbosity (장황함) 형용사, 부사를 이용해 응답과 설명의 품격을 높인다. 간략하게 응대하고 물러선다. 회원들은 컨시어지와 이야기하려고 모인 것이 아니다. 통상적 문구를 사용할 상황에서도 완성된 문장을 사용한다.
Grammar (문법) 경험을 표현할 때 단문이나 중문보다 복문으로 표현한다. 의견을 교환할 때는 단순한 문장을 선택한다. 클럽에 대해 의견을 나눌 때 가능하면 수동태, 과거시제, 중문, 복문을 사용한다.
Punctuation (구두법)  엠 대시(⏤) 대신 시리얼 콤마와 콜론(:)을 사용, 물결표, 느낌표를 피함 [구두법 관련 규정 없음] 문장에 마침표를 포함. 
타이틀은 제외.
Capitalization (대문자)  타이틀, 버튼, 제목에 타이틀 케이스를 사용 관계(친구, 배우자, 부모님)는 대문자로 쓰지 않음 회원 직함, 역할, 위원회 직함, 이름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

(본 내용은 토레이의 <<전략적 UX 라이팅>>의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입니다.)

 


 

모든 행을 합친 보이스차트는 콘텐츠에 관한 결정을 공유하고, 누가 작성하더라도 원-보이스를 낼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완성된 보이스차트가 있다면, 텍스트 디자인에 대해 조직 내 합의를 이끌어내거나 의사결정을 내리는 상부를 설득하거나 여러 명의 직원들이 자율적 결정을 통해 업무를 수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때문에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은 실무 UX 라이터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며, 반드시 실무에 적용해야 할 만한 시스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위에 작성된 표의 내용을 다시 한 번 보자. 

구두법, 대문자...

한국어에는 구두법과 대문자가 없다. 

또한 단어, 장황함, 문법에 있어서도 한국어와 영어는 너무 다르다. 

 

이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의 유일한 문제점은 국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어에 적용할 수 없는 내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만이 가진 특성들 또한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어의 특성과 문법 요소를 충분히 적용한 보이스차트 프레임워크를 알아보기로 하자. 

반응형